Day18
·
BoostCamp
Comming Soon...
Day16
·
BoostCamp
오늘은 웹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개념인 HTTP에 대해서 공부하고 정리해보고자 한다. 또한, 통신을 통해서 반드시 존재하고 관리되어야 하는 DB와 DB를 다루기 위해서 사용하는 SQL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고자 한다. HTTPHTTP 란?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의 약자HyperText텍스트 간에 이동 할 때, 순차적 접근 방식이 아닌 비순차적(초월적) 접근 방식을 따르는 텍스트HTML 같은 형태Transfer Protocol통신 장비 간 데이터 교환 방식을 하기 위해서 서로 합의한 규약사항통신을 원하는 두 개체가 무엇을, 어떻게 통신할 것인가에 대해 약속하고 이를 규칙으로 정의해놓은 것데이터의 형식(아날로그 or 디지털), 부호화(Unicode, ASCII), 신호 순서, 인증,..
Week03
·
BoostCamp
🖋 느낀점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은 너무나 다양하다. Stardew Valley 처럼 한명의 개발자의 엄청난 노력을 통해서 하나를 완성하기도 하고, Android 처럼 open source로 공개되어서 전세계에 수많은 개발자들의 참여를 통해서 완성되고 개선되어 지기도 한다. 하지만 나 같은 웹개발자를 시작하는 입장에서 가장 익숙한 방법은 4,5명 정도의 팀으로 함께 진행하는 방법이다. 학교와 여러 교육과정에서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고, 실제 회사 업무에서도 이정도 인원으로 하나의 팀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오히려 단 2명이서 개발을 진행하면 어떨까? 사실 나는 네부캠을 참여하기 전에 단 둘이서만 개발을 진행해 본 적이 없었다. 혼자 진행을 하거나 아니면 아예 5명정도의 인원으로 진행했었던 것..
Day13
·
BoostCamp
☠지옥에서 올라온 파일관리자☠ 라고 불리는 `git`시스템은 과거에 파일 관리하는 방법이 시스템화 되어있지 않았을때, 지옥처럼 힘들게 관리되던 파일들과 소스코드들을 획기적으로 관리하고, 컨트롤 할 수 있게 해준 너무나 중요한 버전관리 시스템이다. 이번 미션에서는 파일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공부하고 시스템 안에서 어떤 개념들이 사용되는지 학습하고 정리해보고자 한다. 특히나 git이 어떤 방식으로 수행되고, 그 과정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방법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고자 한다. VCS 버전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파일 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해뒀다가 나중에 특정 시점의 버전을 다시 불러올 수 있는 시스템VCS 기능선택한 파일을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변경 사항을 비교하고, 변경한..
Day11
·
BoostCamp
Week3부터 학습정리하는 과정에서의 기본 지식과 키워드를 제공하는 방법이 달라졌다. 핵심 개념을 익히게 하는 방법도 달라졌지만 무엇보다도 양이 엄청나게 많아진 것이 가장 많이 달라진점이 아닌가 싶다...!😱😱 내부에서 비동기적으로 과정을 처리하는JavaScript 와 Node.js를 사용해서 멀티 스레드 형태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개념들을 정리해 보았다. 비동기 처리 문법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프로그래밍 언어 이기 때문에 멀티스레드 작업을 하기 위해서 비동기 처리방식을 사용한다.비동기 처리방식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고, 처리가 완료된 이후에 결과를 반환받아서 처리하는데 이때 JavaScript 에서는 지금까지 callBack 함수와 promise 객체를 사용했다.하지만 callBack..
Week02
·
BoostCamp
🖋 느낀점정신없이 지나갔던 1주차의 경험을 바탕으로 2주차는 조금 더 적응을 한 후에 진행을 할 수 있었다.😁😁 더 계획적이고 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하고, 늘어난 짝 활동을 통해서 나의 장단점을 조금 더 알고, 이를 바탕으로 1주차보다 더 빠르게 성장을 하려고 했던 것 같다. 2주차의 이틀째인 Day07에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고 진행하는 학습을 진행했다. JUnit을 사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했던 적은 있지만, JavaScript에서 테스트를 진행해 본적이 없었다. 처음에는 JUnit과 비슷한 방식으로 금방 진행 할 수 있겠다고 생각을 했지만 테스트 환경을 셋팅하는 방법과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션을 진행하기 위해서 테스트 외의 다른 부분들 또한 학..
Day09
·
BoostCamp
디자인 패턴이란 기존 환경 내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고 풀어나갈 것인가에 대한 일종의 해결 방안으로, 실제 현업에서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프로그래밍으로 처리하면서 만들어진 다양한 해결책 중에서 많은 사람들이 인정한 모범 사례(Best Practice)이다. 많은 디자인 패턴 중에서 오늘은 Ovserver 패턴과 Publisher-Subscriber 패턴을 비교하면서 주로 Publisher-Subscriber 패턴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자 한다.  Observer 패턴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관차자들의 목록을 객체에 등록하여 상태 변화가 있을 때마다 메서드등을 통해서 객체가 직접 목록의 각 옵저버들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분산 이벤트 핸들링 시스템을 구현할 때 사용한다.발행-..
Day08
·
BoostCamp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란 프로그래머에게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점을  가지게 하고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패러다임이 존재하고, 현직에서 또한 다양한 패러다임들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프로그래밍의 상태와 상태를 변경시키는 구문의 관점에서 연산을 설명하는 "명령형 프로그래밍"의 종류에는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등이 있다. 하지만 오늘은 어떻게 할것인가 보다는 무엇을 할것인가를 표현하는 "선언형 프로그래밍"의 하나인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함수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과 함께 현재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패러다임이다. 이 둘은 불변성, 참조투명성, 객체화 등을 내세워서 안전하고 명확한 개발의 방향과 비전을 제시한다..
Day07
·
BoostCamp
제품을 만들거나, 미션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을 진행할 때 한번에 모든 요구사항을 파악한 후에, 요구사항에 맞게 완벽하게 설계하고, 모든것이 담겨있는 설계를 빈틈없이 구현해내어서 완벽한 결과를 짠~ 하고 만들어 낼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이렇게 개발을 진행하는 것은 아무리 간단한 문제라도 누구에게나 쉽지 않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개발자들은 큰 전체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서 "설계 - 개발 - 검증" 단계를 반복해서 진행하면서 큰 전체를 조금씩 완성해가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때 `검증` 단계에서 어떻게 자신이 만든 기능을 믿고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을까? 적은 양의 함수라면 직접 다 실행하면서 개발을 진행하면 될것이다. 하지만, 함수와 클래스가 많아질 수록 사람이 직접 ..
Day06
·
BoostCamp
드디어 올것이 왔다...! 처음 배울 때 아주 어려웠던 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을 사용하는 미션이 시작되었다!! JAVA를 많이 다루면서 어렴풋이 이해하고 사용하고 있지만, 확실하게 이해하고 정리하고 사용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는 것을 계속해서 느끼고 있다. 이 글에서는 언어종류를 벗어나 개념을 확실하게 공부하고 나만의 언어로 다시 정리하고자 한다. 나는 JavaScript보다 JAVA에 더 익숙하기 때문에, 객체지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게 더 편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오히려 너무 자유로운? JavaScript에서 객체를 어떻게 구성하고 제약사항을 설정해서 객체를 관리해 주는지에 대해서 많은 의문점을 가지고 있었다. 우선, JavaScript든 JAVA든 객체지향이라는 개념은 다르지 ..
bbabbungtting
'BoostCamp' 카테고리의 글 목록